티스토리 뷰
목차
수능 시험장에서 가채점표를 잘못 기입하면 대학 지원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단 몇 분의 실수로 1년을 더 준비해야 하는 상황을 막으려면 정확한 기입 방법을 미리 숙지해야 합니다. 지금 바로 확인하여 완벽한 수능 준비를 마무리하세요.
가채점표 기입 기본방법
수능 시험 중 가채점표는 각 과목별로 정답을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되며, 시험이 끝난 후 즉시 예상 점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문제를 풀면서 확신하는 정답을 즉시 표기하되, 추측한 답은 별도로 표시하여 나중에 재검토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3분 완성 기입절차
시험 시작 전 준비단계
가채점표 상단에 과목명, 시험 시간을 미리 기입하고 연필 2자루를 준비합니다. 문제지와 가채점표를 나란히 배치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책상을 정리합니다.
문제 해결 중 실시간 기입
각 문제를 풀고 난 즉시 확신하는 답은 진하게 표기하고, 애매한 답은 연하게 표기합니다. 5문제마다 한 번씩 번호 순서가 맞는지 확인하여 실수를 방지합니다.
시험 종료 10분 전 최종점검
남은 시간 10분 전부터 연하게 표기한 문제들을 재검토하여 최종 답안을 확정합니다. 빈 칸이 있는지 한 번 더 확인하고 전체 답안의 패턴이 자연스러운지 점검합니다.
정확도 높이는 체크법
가채점표 기입 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확신도에 따른 표기법을 활용하고, 과목별 문항 번호를 반드시 대조 확인해야 합니다. 특히 선택과목의 경우 문항 번호가 다를 수 있으므로 과목 코드와 함께 확인하여 혼선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시험 종료 후 즉시 예상 등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틀린 것으로 예상되는 문항 수도 별도로 카운트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.
실수하면 위험한 함정들
가채점표 기입 시 가장 흔한 실수는 문항 번호를 잘못 매칭하거나 과목을 혼동하는 것입니다. 특히 탐구영역에서 선택과목이 다른 경우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과목별 문항 번호 순서를 틀리게 기입하여 전체 답안이 밀리는 경우
- 선택과목 코드를 잘못 표기하여 다른 과목으로 채점되는 상황
- 시간에 쫓겨 대충 표기하여 나중에 정답을 알 수 없는 경우
- 지우개 사용 시 완전히 지우지 않아 이중 체크로 인식되는 실수
과목별 가채점 소요시간
각 과목별로 가채점표 기입에 필요한 시간과 권장하는 점검 횟수를 정리했습니다. 시험 시간 배분 계획을 세울 때 참고하여 충분한 여유시간을 확보하세요.
| 과목명 | 기입 소요시간 | 권장 점검횟수 |
|---|---|---|
| 국어 | 2-3분 | 2회 |
| 수학 | 3-4분 | 3회 |
| 영어 | 2-3분 | 2회 |
| 탐구영역(1과목) | 1-2분 | 1회 |
